728x90
반응형
Best Story
- [Git] 특정 커밋 Merge 하기 (cherry-pick) 영어 표현에서 체리 피킹(cherry-picking)은 “체리 농장에서 맛있는 체리만 골라 딴다”는 뜻으로, 필요한 것만 선별적으로 취한다는 뜻이다 Git에서 여러 커밋 내역 중 특정 커밋만 골라서 다른 브랜치로 Merge(병합)하는 작업을 cherry-pick이라고 한다.즉, cheery-pick을 사용하면 해당 브랜치의 전체 히스토리가 아니라 필요한 특정 커밋만 골라서 Merge 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브랜치(버전)를 관리하는 현업에서 브랜치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herry-pick 사용 방법소스 브랜치 : 커밋(소스)을 가져올 브랜치타겟 브랜치 : 커밋 내역을 가져와 병합시킬 브랜치 1. Git pull 받기소스 브랜치와 타겟 브랜치 양쪽 다 pull을 받아 최신 상태를 유지한다. .. 2025.01.20
- [JavaScript] 옵셔널 체이닝과 논리 연산자로 객체 값 안전하게 다루기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if, if, if.. null & undefined 처리를 일일이 작성하다 보면 코드가 더러워지고 가독성도 떨어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옵셔널 체이닝과 논리 연산을 활용할 수 있다. 1. 옵셔널 체이닝 ( ?. )용도: 객체나 배열에서 중첩된 속성에 접근할 때, 해당 경로 중간에 null 또는 undefined가 있을 경우 에러를 방지한다.특징:중간 단계에서 null 또는 undefined일 경우 바로 undefined를 반환.객체 접근에 안전하게 사용.예제:const obj = { a: { b: null } }; console.log(obj?.a?.b); // null console.log(obj?.a?.c); // undefined console.log(obj?.. 2024.12.21
- [GoormIDE] goorm ide 사용방법 💡 구름 IDE란? 웹 기반 클라우드 통합 개발 환경이다.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다면 Python, JavaScript, C, C++ 등 원하는 언어로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개발 환경을 쉽게 구축할 수 있다. 구름은 아마존에서 EC2를 이용하고 있으며 도커 컨테이너를 사용해서 빠르게 개발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 강력한 협업 기능을 제공한다. 개인은 프로젝트 개발, 단체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통해 효율적인 협업이 가능하다 각종 소셜 계정, 이메일 등의 로그인을 지원한다. (나는 google) 컨테이너를 생성하여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도메인(IP)를 세팅하여 서버를 실행한다. 💡사용 방법 아래 URL로 접속하여 로그인하면 된다. goormIDE -.. 2023.09.10
- [Linux] 노트북으로 개인 Linux 서버 만들기 백엔드 개발자로 살다보면 서버가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그럴 때 마다 AWS를 사용하기에는 비용적인 부담이 크다.. 남는 노트북(PC)이 있다면 직접 서버를 만들어 사용하면 된다. 💡준비물 : 노트북, USB 혹시 이렇게 노트북 모니터가 깨져서 뽑아버렸다면 HDMI 케이블로 다른 모니터에 연결해주면 된다. ⏩️ 진행 단계 : Ubuntu 설치 - USB 부팅 디스크 만들기 - USB로 부팅 1. Ubuntu 설치*Ubuntu 말고 다른 배포판을 사용하고 싶다면 원하는 운영체제를 다운받으면 된다. 아래의 링크에서 Ubuntu Server 다운로드https://ubuntu.com/download/serverUbuntu Desktop도 있지만 서버로 사용할거면 굳이 GUI는 필요 없기 때문에 서버로 사용하는.. 2024.10.03
- [Mac] Shell(CLI) 환경에서 vscode로 파일 편집하기 CLI 환경에서 visual studio code를 활용하여 파일 편집 CLI(Vi editor)를 사용한 파일 편집 Linux나 Mac 등의 CLI 환경에서는 보통 vi, nano, gedit 등의 에디터를 사용하여 CLI 화면에서 파일을 편집한다. 하지만 CLI 환경에서 파일을 편집하다 보면 오타나 들여쓰기 등의 확인이 힘들고 수정도 불편한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code 명령어를 사용하여 VSCode를 띄워서 IDE 상에서 문서나 코드를 작성/수정 할 수 있다. IDE(VSCode)를 사용한 파일 편집 훨씬 보기 편하고 문법 확인이나 들여쓰기, 자동 완성 등 VSCode의 다양한 기능들도 사용할 수 있다. 설정 방법 로컬 환경에서 설정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VSCode를 실행하여 위의 검색창에.. 2024.07.15
- [JasperReports] 01. Jaspersoft Studio 설치 및 세팅 JasperReport를 생성하기 위한 GUI 도구 설치Studio 설치해당 경로에서 Jaspersoft Studio 다운로드https://sourceforge.net/projects/jasperstudio 프로그램 세팅# 상단 메뉴File > OpenProjects from FileSystem 선택- Spring 프로젝트의 .jrxml 파일이 저장될 디렉토리 경로를 선택한 후 Finish한다.ex. (jasperreport\common) Reprot 파일 생성- Directory 우클릭> new > jasper reportBlank A4 선택하여 생성 구성File Navigationjrxml, jasper 파일 목록 View Report현재 작성중인 report의 design, source, previ.. 2023.10.19
- [Server] WebtoB(WEB) & Tomcat(WAS) 연동. with ReverseProxy WebtoB의 Reverse Proxy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에 WebtoB를 두고 내부 서버에 WAS를 두어 연동하는 방식은 보안, 성능,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WebtoB는 TmaxSoft에서 제공하는 고성능 웹 서버이다.WAS는 일반적으로 HTTP Listener를 가지고 있는데, WebtoB는 reverse proxy 설정을 통해 WAS의 HTTP Listener와 연결 을 맺어 연동하게 된다. WebtoB 라이센스 발급우선 WebtoB를 실제 운영 시스템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 또는 테스트 목적으로 진행할 경우 데모 라이선스를 발급받아 일정 기간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데모 라이선스는 제품 구입 전 테스트 및 검토를 위하여 제한된 기간 동안 발급받아 사용 가능.. 2024.09.18
- [Javascript] 대시보드 메모리 누수 해결하기 (memory leak troubleshooting) 대시보드 화면의 지속적인 메모리 누수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Out of Memory로 화면이 다운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해결하는 과정 Memory Leak이란?메모리 누수(memory leak)는 프로그램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메모리를 해제하지 않고 계속 점유하는 현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런 메모리가 계속 축적되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메모리를 소모하게 된다. Out of Memory(OOM)란?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가 부족할 때 발생하는 현상이다. 프로그램이 할당 가능한 메모리보다 더 많은 메모리를 요청할 때 발생하며, 이로 인해 프로그램이 죽거나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렇게 강제로 Memory Leak을 발생시키면 OOM으로 웹사이트가 죽게된다. OOM이 발.. 2024.07.09
- [SpringFramework] Filter로 XSS 취약점 대응하기 Servlet Filter를 등록하여 서버로의 HTTP 요청(request)에 대한 XSS 필터링 적용 XSS란?교차 사이트 스크립팅(XSS, Cross-Site Scripting)은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취약점 중 하나로, 공격자가 악성 스크립트를 다른 사용자의 브라우저에서 실행하도록 만드는 공격 기법이다. 주로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 입력을 제대로 검증하지 않거나 필터링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XSS 공격은 사용자의 세션 쿠키, 개인 정보, 인증서 등을 탈취하거나, 악성 사이트로 리디렉션하거나, 피싱 공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럼 XSS 공격을 막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XSS는 주요 정보(session, cookie, 개인정보) 탈취, 사용자 리다이렉션, 사이트 조작 등 다양한 공격 방법이 있지.. 2024.07.04
- [Mac] Local 환경 SSH 사용(활성화) 하기 Mac 환경에서 ssh를 사용하려면 권한 부여와 활성화를 해줘야한다. 우선 현재 mac에서 ssh 접속이 가능한지 테스트 해보자.따로 설정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ssh localhost' 명령을 치면 이렇게 22번 포트의 접속이 거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이때 정상적으로 ssh 접속이 된다면 그냥 잘 사용하면 된다. 'sudo systemsetup -getremotelogin' 명령을 사용하면 현재 remotelogin의 활성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데 Off로 설정되어 있다면 비활성화 되어있는 것이다. ssh를 활성화 하려면 'systemsetup -setremotelogin on' 명령으로 remotelogin을 on해주면 되는데 보통 아래와 같이 디스크 접근 권한이 없을 것이기 때문에 먼저 te.. 2024.06.0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