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docker5 [Docker] 컨테이너 이미지 생성(복제) 운영중인 컨테이너 환경을 그대로 백업하거나 복제해야 하는 경우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다. 요즘은 개발, 테스트, 운영 등 대부분의 작업을 도커 컨테이너 환경에서 하는 것 같다. 이 이유는 환경 일관성, 리소스 효율성, 이식성 등 다양한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컨테이너 환경을 사용중이라면 컨테이너(서버) 환경을 그대로 백업하거나 복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컨테이너를 도커 이미지로 저장하는 있는 기능은 이러한 도커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컨테이너를 이미지로 저장하면, 해당 시점의 상태 설정, 실행 중인 서비스, 내부 데이터 등을 그대로 캡처하여 보존할 수 있다. 이 이미지를 다른 환경에 배포하거나, 백업용으로 보관하거나, 장애 발생 시 롤백용으로 활용할 수 있어 운영 안.. 2025. 7. 31. [Docker] 에러 노트 Docker 사용 중 발생한 에러를 정리하는 곳입니다. Docker-compose not found 에러에러 코드/usr/local/bin/docker-compose: line 1: Not: command not found발생 원인- Docker-compose가 정상적으로 다운로드 되지 않아 발생해결 방법- apt에서 다운로드 받았다면 curl명령어로 직접 Docker 홈페이지에서 파일 다운로드 하면 된다.- 직접 다운로드 받아도 해당 문제가 발생한다면 URL의 버전 정보 앞에 v를 붙였는지 확인한다. (예전에는 경로에 v가 없었지만 바뀌었다고 함)sudo curl -L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download/v2.28.0/docker-compo.. 2024. 6. 30. [Docker] nGrinder 부하 테스트 환경 구성 (with. AWS) AWS EC2 환경에서 docker-compose를 사용하여 nGrinder(성능 테스트 툴)를 동작시키기 위한 컨테이너 구성 과정*해당 글은 Ubuntu 기준으로 작성됨. 1. AWS EC2 인스턴스 세팅Local 환경에 Container를 생성해서 테스트 해도 되지만 리소스가 제한적이고, 외부에서 접속할 수 없기 때문에 AWS ec2를 사용하였다. 우선 아래의 링크에서 AWS에서 EC2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한다. https://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ec2/home?region=ap-northeast-2#Home: 인스턴스 생성이 완료되면 Local에서 Terminal을 열고 SSH로 EC2 서버에 접속한다.ssh -i [.pem 파일 경로] ubuntu@.. 2024. 6. 30. [Docker] 02. 컨테이너 핵심 개념과 사용 방법 (Dockerfile, compose, volumes, network...) 도커 이미지를 만들어 컨테이너를 띄우는 방법과 주로 사용되는 개념들을 정리하자 1. DockerFile 작성 📝Dockerfile은 도커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명령어들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텍스트 파일이다. 각 명령어는 새로운 계층(layer)을 만들며, 이 계층들이 합쳐져 최종 이미지를 구성한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빌드와 배포 과정을 표준화·자동화할 수 있다.💻 기본 구조 및 주요 명령어1. FROM: 기반 이미지를 지정 (모든 Dockerfile은 FROM으로 시작)FROM ubuntu:18.04 2. LABEL: 이미지 메타데이터 정의 (제작자, 버전 등)LABEL maintainer="name@example.com" 3. RUN: 빌드 시 실행할 명령어 정의 (패키지 설치, 설정 .. 2024. 5. 6. [Docker] 01. 가상화와 컨테이너 및 도커 엔진의 구조 Docker의 Container에 대한 기본 개념과 Docker Engine의 내부 동작 방식 모던 웹개발에서 Docker가 왜 필요한가? 🐳💡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1. 초창기 컴퓨팅 환경의 한계1960~70년대 컴퓨터는 한 대의 기계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만 실행하는 구조였다. 프로세스(Process)는 프로그램의 실행 인스턴스로, CPU·메모리 등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되며, 커널(Kernel)이 이를 관리했다.하지만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자원을 쓰기 시작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특정 프로그램이 CPU·메모리를 과도하게 점유 → 다른 사용자 프로그램까지 영향을 줌애플리케이션 오류가 OS까지 확산 → 전체 시스템 중단 발생즉, 자원을 공유하되 안전하게 격리할 방법이 필요해졌다. 2. 웹 서비스 시대와 자.. 2024. 5. 6. 이전 1 다음 728x90